본문 바로가기

망중립성

<망중립성> 유튜브는 공짜, 국내 기업은 수십, 수백억 쓰는 망 비용

망 비용 구조가 아주 이상합니다.... 아는 사람은 아는 아주 이상한 구조. 워낙 이상하다보니.. 해석이 달라질 여지가 있을텐데, '반론' 환영한다는 얘기를 먼저 해둡니다. '공론화', '논의' 매우 환영합니다. ㅎㅎ 

국내 동영상 서비스는 연간 수십~ 수백 억원의 망 이용 대가를 트래픽 비용으로 망 사업자에게 냅니다.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같은 서비스를 비롯해 아프리카TV, 판도라 등 동영상 서비스는 다 그래요. 동영상이 다른 문자나 메시지, 뉴스 등 텍스트 혹은 기껏해야 이미지인 서비스보다 대역폭을 훨씬 많이 쓰기 때문이죠.  문제는 전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동영상 시장의 절대강자로 떠오른 구글 유튜브는 공짜로 씁니다. 동일한 시장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끼리 비용 구조가 완전히 다른 거죠.
왜 이렇게 됐냐구요? 



국내
동영상업체들의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사용 현황

국내 업체들은 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IDC 자사 서버를 둡니다. 그리고 비용을 냅니다. 
1) 서버 설치 관리 비용(=상면이용료, Co-Location),
2)
인터넷 비용(=네트워크/트래픽 사용료),
3)
전기료 
구분되며, 사용료 가장 부분을 차지하는 인터넷 비용은 네트워크/트래픽량에 따라 지급합니다. 청구서 항목에 보면 '네트워크 총 사용량'이라는 항목이죠.. 

     
유튜브(Youtube) IDC 사용 및 캐시서버 현황

유튜브를 포함한 구글의 아시아
-태평양지역 서버는 일본과 싱가포르에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국내 이용자들이 엄청나게 유튜브를 즐기게 됐죠.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서버가 없는 국가에서는 버퍼링 등 서비스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도 생기죠. 

구글은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국내 망사업자인 SKB LGU+에 유튜브 캐시
(cache)서버를 IDC에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기가 좋은 컨텐츠를 캐시 서버에 저장하고 이용자 요청시 바로 전송하는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수십만, 수백만 조회수가 올라가는 인기 컨텐츠를 이용자가 클릭할 때 마다 매번 해외 서버에서 보내주는 구조가 아니라, 그걸 국내 IDC '캐시 서버'라는 곳에다 저장해두면 당연히 효율적. 이용자 입장에서는 버퍼링도 적죠. 


SKB LGU+는 결국 구글의 제안을 수용, 유튜브 캐시 서버를 자사 IDC에 설치했습니다. 무엇보다 이에 대한 네트워크 비용을 별도로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캐시 서버 설치로 인해 비싼 국제구간 중계접속 비용 부담을 줄였기 때문입니다. 해외에 서버를 둔 콘텐츠를 국내 이용자가 호출국제 구간에서 국내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국내 망 사업자가 국외 사업자에게 이를 정산해야 합니다. 트래픽이 계속 늘어나면 해외 인터넷 회선을 증설해야 할 때도 있죠. 통신사 입장에서는 국내 동영상 업체야 이용이 늘어날수록 돈을 많이 내는데, 구글은 이용이 늘수록 자기네들 비용이 들어나는 구조였던 겁니다.  IDC 서버 비용은 물론, 네트워크 비용을 안낸다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나가던 비용을 절감하게 됐으니 괜찮다는 걸까요.  국내 기간망의 맏형인 KT 아예 자체 비용으로 별도의 구글 캐시 서버를 자사 IDC설치했습니다. 물론 유튜브 트래픽에 대한 비용을 따로 받지 않습니다. 

그래서 작년 여름 이런 기사가 나왔죠. 
유튜브에 밀리는 네이버, 다음..”동영상 서비스 접어야 하나요”’(2014. 7)  


자.. 결국 구글은 공짜? 국내 업체는 봉? 
포털 등 일부 동영상 업체는 유튜브 방식으로 국내 망사업자
IDC 내에 캐시 서버 설치를 해보려고 했죠.. 그러나 잘 안됐어요. 망 사업자 입장에서는 국내 사업자에 대해 국제 구간 트래픽 경감 효과가 있거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고.. 기존에 돈 잘 내던 고객들인걸요...

그럼 괜찮은거냐? 그럴리가요. 국내 사업자는 서비스 활성화로 트래픽 규모가 증가할수록 망 사업자에 지급하는 망 비용이 높아집니다. 대역폭 많이 필요한 고화질 서비스에 나서기 어려워지는 거죠
. 유튜브는 2010년부터 4K, 1440P 해상도의 고화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국내 포털 등은 720P 수준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사업자가 유튜브 수준으로 720P에서 1440P로 동영상 화질을 개선할 경우, 현재 수백 억원에 달하는 트래픽 비용이 딱 배로 늘어나게 됩니다. 서비스 품질이 비용 문제와 직결되면서 품질 경쟁력까지 떨어지는 국내 사업자와 트래픽 비용 걱정 없이 품질을 개선하는 해외 사업자의 경쟁은 공정하지 않아요. 시장을 왜곡하는 요인이 되는 거죠... 2008년 국내 시장 점유율 2%에 불과하던 유튜브는 2014 6월 기준 79.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게 복잡하고 복잡한 망 비용 구조 탓에 이렇습니다. 

상호접속(interconnection) 개별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통해 각각의 네트워크가 보유한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
직접접속(Peering) : 두 개의 네트워크가 서로 동등한 관계에서 연결하는 접속의 한 형식무정산 원칙
중계접속(Transit) 
두 개의 네트워크가 차등관계에서 쳔결하는 접속의 한 형식. 열위에 있는 네트워크가 일정 대가를 중계접속료(Transit Fee)로 지불.

 

       미국의 경우, 원래 비용 정산 않아요.. Peering의 경우, 두 사업자 사이에 누가 더 value를 만들어 내느냐의 문제라고 합니다. 상호접속 자체가 비즈니스 모델이죠. 다만 품질저하 구간에서 협상용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개 30~50만원/Gbps 수준. 대신 이용자의 초고속 인터넷 요금이 비싼 구조이기는 합니다국내 인터넷 트래픽 비용은 보통 500~600만원/Gbps.  이는 30만원/Gbps 수준인 전용회선 비용과 별도로 내는 거구요.. 서비스 트래픽  과금되는 구조죠.. 

기간통신사업자 규제 권한과 관련
,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의 경우, 상호접속은 common carrier 규제 영역으로 FCC소관이 아니었다가.. .이번에 망중립성 규칙 새로 만들면서 상호접속까지 관할하게 되기는 했죠.... 우리는 심지어 규제 대상인데도.. 그런데, 저 부분은 정부가 나서는 것도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고..... 하시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같은 서비스를 누구는 비용 없이 하고, 국내 기업은 수십, 수백억? 화질 한번 올릴 때 마다 벌벌 떨고? 돈과 직결되다보디 대역폭을 충분히 확충하지 못해서 가끔 접속이 몰리면 뻗기도 하는게 국내 포털의 생중계 서비스... 실제 서비스 담당하는 분들은 울어요.. 어려운 문제.. 간만에 상호접속 얘기 들여다보면서.. 다시 하나씩 하나씩 꺼내봅니다.  바라는게 뭐냐구요? 공정한 서비스 비즈니스 환경이죠...ㅎㅎ 논의가 더 필요한 얘기구요..